청도여행(태산-곡부-제남-청도)
제남의 표돌천 부근의 만두가게에서 맛은 별로였지만 배불리 먹고
기차시간에 늦지 않기 위하여 제남역으로 간다. 그리고 고속전철을 타고 청도로 출발한다.
제남에서 청도로 가는 길에 한차례 소나기가 내렸다.
태산이나 제남이 내륙에 위치해서 인지 날씨가 무척이나 더웠다.
온도차가 9도정도의 차이가 났다.
청도에 도착하니 안개가 잔득 끼어 있다. 시원하다 못해 싸늘한 느낌이 든다.
다음날 라오산(崂山)을 가기 위해 라오산과 가까운 闽江[Mǐnjiāng]부근으로 숙소를 정했다.
만두가게에서 점심을 배불리 먹고 칭다오로 향한다.
칭다오 역에 도착하여 5분 정도 걸어가니 해변길이 나온다.
시원하다 못해 싸늘하여 한기를 느낀다.
다음날 라오산(崂山)을 가기 위해 라오산과 가까운 5.4광장
부근 闽江[민장]로쪽으로 숙소를 정했다.
숙소는 宾馆(빙관)이기 때문에 저렴하였다.
3사람이서 300위엔에 이틀을 잔 것으로 기억된다.
숙소를 정하고 저녁을 먹기 위해 근처 해산물 식당으로 갔다.
청도의 해산물과 중국술(고량주)로 기분 좋게 저녁을 먹고 숙소로 돌아 왔다.
옆집에 마침 안마하는 곳이 있어 피로도 풀겸 안마를 받기로 하였다.
여기까지 와서 중국의 안마문화를 지나치면 섭섭하지 않는가?
머리 몇 번 눌러주고 다리 몇 번 눌러주나니 40분정도 지난 것 같다.
요금은 1인당 80위엔 받는다.
다음날 아침 일찍 일어나 라오산을 가기 위해 택시를 타고 라오산 입구 매표소에 도착했다.
우리가 제일 먼저 왔다.
매표소에서 1인당 150위엔을 주고 입장권을 샀다.
그리고 20분쯤 기다리다 버스가 출발한다.
달랑 우리 세 사람만 타고 라오산 중턱까지 올라갔다.
라오산 종주를 하려고 아침 일찍부터 서둘렀는데
안개가 너무 진하여 이슬비처럼 내리기 시작한다.
관리직원에 의하면 오늘 비가 내린다는 예보도 있고 이 상태로는 산에 오를 수 없다고 한다.
30분쯤 있다가 다시 타고 온 버스를 타고 매표소로 돌아 왔다.
기상이 안 좋아서 산에 오를 수 없어 환불을 요구하니 쉽게 환불을 해 주었다.
중턱으로 올라가는 길에 서구식 주택들이 보인다.
이곳에서 기상이 좋지 않아 더 이상 가지 못하고 타고 왔던 버스를 타고 내려와야만 했다.
그리고 버스를 타고 청도해변 트레킹이나 하고자 중산공원 방향으로 가는 버스를 탔다.
중산공원쯤에 오니 해변이 보인다.
무작정 내려서 옆을 보니 사람들이 긴 행령을 이루고 북쩍 북쩍하다.
근처 식당에 들어가서 물어보니 해양박물관이라고 한다.
좀 이른 시간이긴 하지만 점심을 먹고 박물관으로 가기로 하였다.
식당 아주머니가 하는 말 –아는 사람이 있는데 그 사람한테 얘기하면 싸게 입장할 수 있다고 한다.
그래서 돈을 주고 나서 식당에서 식사를 하고 나니
일명 –삐끼-라는 사람이 와서 우리를 공원의 대기소로 데려간다.
그리고 그곳에 가니 거기에 우리처럼 약간 싸게 입장하려는 사람들이 기다리고 있었다.
우측의 검은 옷 입은 친구가 일명 홍금보(닮아서)라고 하는데
워낙 해물과 술을 좋아해서 매 식사 때마다 고량주를 마셔노니 기분이 좋구나.
그러니까 이 –삐끼-라는 사람은 개별적으로 온 사람을 모아서 (일정 인원수 이상)단체를 만들어
할인을 받고 거기에서 나오는 수수료를 챙기는 것으로 생각이 되었다.
아~ 공자 유적지 취부(曲阜)에서도 그러더니만 이곳에서도 그러는구나....
또 속았네..... 살아 가는 방법도 가지 가지로구나......
북쩍이는 인파들
하나의 티켓으로 해양관련 3개의 시설을 관람할 수 있다.
비를 맞으며 청도해변 트레킹을 하면서 소청도까지 간다.
해군박물관
점심식사를 하고
짝퉁시장을 구경하기 위해 찌모루시장(卽墨路市場)을 가보았다.
큰 의미는 없었으며 눈요기만 하고 왔다.
중국어를 몰라도 괜찮다.
여행 중국어 책자 하나만 들고 떠나면 다 통한다고 말하고 싶다.
시간이 되거든 배낭하나만 매고 떠날 수 있는 용기를 가져보라고 말하고 싶다.
다음에 시간이 되면 화산(华山)과 숭산(嵩山)을 가보고 싶은 생각이 든다.
목표는 산이지만 그 지역의 문화유적지도 보면서 여행을 하는 것도 괜찮을 것 같다.
'중국탐방 > 칭다오, 태산, 취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유여행-(제남) (2) | 2013.06.14 |
---|---|
곡부 자유여행 (0) | 2013.06.03 |
태산 자유여행-(곡부, 제남, 청도) (1) | 2013.05.29 |
자유여행-(제남)
지난(濟南)
5/25일 아침 식사를 마치고 제남으로 가기 위해 호텔을 나섰다. 5분을 기다려도 택시는 오지 않고 마침 태산역까지 가는 버스가 오고 있었다. 버스를 3元(3명) 주고 타고 태산역에 내렸다. 8시 40분에 태산역에 내려서 제남 가는 기차 시각을 보니까 9시 08분 열차가 있다. 39元(3명)을 주고 발권을 해서 기차를 타고 제남에 도착하니 10시 10분이다.
(태산역 앞에서) 제남에 가는 학생들인데 발권하는데 도와준 친절한 학생들이다.
제남역
발권 창구앞 - 창구 앞까지 오는데 30분은 걸린 것 같다.
그리고 먼저 청도행 열차를 예매하는데 아마 40분은 걸린 것 같다. 북경에서 출발하여 청도까지 가는 열차로 15시14분 출발 17시50분 청도 도착 고속열차를 예매했다.(요금-145元)
(제남역 앞에는 시외버스 터미널도 있어 중국 각 지역으로 갈 수 있다.)
우리는 대명호(大明湖)와 표돌천(趵突泉)을 돌아보기 위해 버스를 타고 대명호로 향했다.
표돌천(趵突泉)
우리나라 호떡처럼 생겨서 10元주고 10개를 샀는데 와~~
우리네 호떡과는 달라 맛이 없어도 너~~무 없어 결국은 하나씩만 먹고 다 버렸다.ㅎㅎㅎ
손님이 많은 것으로 보아 꽤나 유명한 집인 것 같다.
매뉴판에 보니까 30元 써져 있다.(우리 생각에 1판에 30元 인줄 알았다.)
60元을 주고 2개를 시켰더니 나중에 나오는 양이 와~~ 4판이 나온다.
그래서 양이 많아도 너무 많아 2개를 물리고 두 개만 먹었는데도
우리의 만두 맛하고 좀 아닌 것 같다.
결국 이것도 다 못 먹고 나오면서 제남의 여행을 마치고 제남역으로 갔다.
그리고 청도 가는 고속열차 15시 14분 열차를 탔다.
'중국탐방 > 칭다오, 태산, 취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도여행(태산-곡부-제남-청도) (2) | 2014.03.01 |
---|---|
곡부 자유여행 (0) | 2013.06.03 |
태산 자유여행-(곡부, 제남, 청도) (1) | 2013.05.29 |
곡부 자유여행
곡부(曲阜)
태산 등정을 마치고 주차장에 내려오니 2시30분이 되었다.
그곳에서 아주머니들이 곡부(曲阜) 팻말을 들고 호객행위를 하고 있다.
얼마냐고 물어보니 150元이라고 한다.
버스를 타고 가는 것 보다는 좀 비싸지만 그래도 시간을 절약을 할 수 있어 오히려 싸다는 느낌이 들어 곧바로 승용차를 타고 공자 유적지가 있는 취부로 향했다.
1시간 10분을 달려 3시 40분, 曲阜에 도착했다.
그런데 이 사람이 엉뚱하게 여행과 관련된 업소에 대려다 주고 무어라 하는데 도대체 말을 알아들을 수가 없었다. 우리는 매표소 앞으로 가자고 하니까,
이곳에서 돈을 지불하고 가야 하다고 한다.
얼마냐고 물으니 300元을 내라고 한다.
우리가 세 사람이니까 300元이 입장료 인가보다 생각하고 300元을 지불하고 나니
그제서야 승용차를 타고 매표소 앞으로 이동을 해서는 한국말을 잘 하는 아주머니를 연결해 준다.
그러니까 우리가 처음 도착한 곳이 공묘(孔廟) 공부(孔府), 공림(孔林)의 가이드를 연결해 주는 여행사 같은 곳으로 우리를 대려다 주고,
여행사와 우리를 태우고 온 운전기사, 그리고 가이드가 각각 1/n씩 수입을 챙기는 구조인 것 같았다.
나중에 안 사실이지만 이곳의 가이드 비용은 매표소 앞에서 1개 팀당 100元이라고 들었다.
좀 기분이 찝찝했지만 막상 가이드하고 공자 유적지를 다니면서 설명을 들어보니
가이드가 충분히 공자의 생애와 유적지에 대한 설명으로 보답을 하는 것 같았다.
우리가 태안에서 150元 주고 타고 온 승용차다(소개소와 전화 통화하고 있다)
이곳은 공림(孔林)으로 들어가는 길인데 운전사가 이곳 우측의 작은 사무실로 대려가 우리에게 막무가네로 300元 내라하고 공묘로 대려간다.(정당한 재화를 공급하고 비용을 받아야 한는데 나참 어이가 없었다.)
매표소는 공묘(孔廟)에 입구에 있다.
이곳 매표소에서 1인 150元씩 450원을 주고 3장을 구매 했다.
金聲玉振(금성옥진) - <맹자><만장하>에 나오는 구절 중에 들어 있다. 공자는 고대 성인(聖人)들의 장점을 집대성(集大成)하여 모두 지니고 있는 성이라는 점을 찬미하는 말이다.
왼쪽의 아줌마는 가이드이다.
우리가 한국인이기 때문에 소개소에서 조선족동포를 연결해 준 것 같다.
시원 시원하게 설명도 잘하고 아는 것도 많아 비용은 좀 많이 지불 했지만 충분한 보상이 된 것 같다.
이곳의 나무는 만지면 공자처럼 학문이 깊고 성인(聖人)이 된다는 설에 의해 많은 사람들이 만져서 반질반질 해졌다.
그리고 이 동네 나무들은 한 천년은 되어야 명함을 내밀 정도로 오래되고 고목들이 많다.ㅋㅋㅋ
2000년전 장인들이 만든 조각기둥은 지금의 발달된 기술로도 만들기 힘든 조각이로고 한다.
이곳에 세워진 비석이나 기둥은 대륙이에서 100톤이 넘는 원석을 가지고 와 이곳에서 가공을 하였다고 한다.
어떻게 가져왔을까?
배를 이용해서 근처의 운하까지 가지고 와서 겨울철에 물을 뿌려 노면을 얼리고 나무위에 원석을 올려 이곳까지 끌고 왔다고 한다.
만세사표(萬世師表) - 청나라의 제 3대 제왕이었던 강희황제(재위1662-1722)가 공묘(孔廟)의 대성전(大成殿)에 [만세사표(萬世師表)]라고 제목하여 현판을 걸었는데, 이는 공자를 칭송하는 표현인 것이다. 그 이전에 원나라의 무종(武宗)도 이러한 표현을 비문에서 사용하였다
공림(孔林)
만고장춘(萬古長春) = 한없는 세월동안 그들의 넋과 학문은 항상 봄이어라
청나라 옹정제가 쓴 것으로 공자의 사상이 천년만년 이어지라는 뜻으로 쓴 글이란다.
자공(子貢)은 중국 춘추 시대 위나라의 유학자이다. 본명은 단목사(端木賜)이다. 그의 자인 자공으로 통칭된다. 공자가 아끼는 제자로서 언어에 뛰어났다. 그러나 살아생전에 칭찬한 적이 한 번도 없었다고 한다. 왜냐하면 칭찬하고 그의 인품을 높이 치켜세우면 자공이 자만에 빠질까봐 항상 충고를 아끼지 않았다고 한다. 자공은 정치적 수완이 뛰어나 노나라 · 위나라의 재상을 지냈다. 공자를 경제적으로 많이 도와주었다.
공자의 후손들이 지금도 이곳 공림에 사후 묘지로 사용하고 있다.
그리고 6시 10분경에 공묘와 공림탐방을 마치고 좀전에 타고 왔던 승용차를 타고 다시
태안의 호텔도 돌아갔다.
요금은 올 때 처럼 150元을 주었다.
'중국탐방 > 칭다오, 태산, 취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도여행(태산-곡부-제남-청도) (2) | 2014.03.01 |
---|---|
자유여행-(제남) (2) | 2013.06.14 |
태산 자유여행-(곡부, 제남, 청도) (1) | 2013.05.29 |
태산 자유여행-(곡부, 제남, 청도)
태산
직장생활을 하면서 시간적으로 여행사나 산악회에서 가는 일정이 맞지 않아
그냥 나 스스로 자유롭게 물어 물어 배낭여행을 가고 싶었다.
그래서 2013.2.23 태산에 가기 위해 제주항공 칭다오 항공권을 예매했다.
비용은 16만원. 여행기간은 5/23~5/27
5월 23일 출발때까지 여행계획을 짜고
인터넷을 통해 많은 정보를 익히기 시작했다.
이 글을 통해서 혹시 태산여행을 하고자 하는
사람들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여행의 목적지는 태산이지만,
태산(타이안)/ 취부(곡부)/ 지난(제남)/ 칭따오(청도)을 두루 거쳐 돌아보기로 하였다.
중국에 가기 위해서는 비자를 발급받아야 하고(비용은 4만5천원)
구글 지도를 통행서 도상위치도 많이 읽히고
태산까지 가는데 기차를 타고 갈 것인가 아니면
버스를 타고 갈 것인가에 대해서도 생각도 해보고
숙박은 어디서 어떻게 할 것인가에 대해서 생각해 보았다.
그리고 동료 2명과 함께 인천공항을 출발 태산으로 향하였다. 공항버스 타는 곳
청도공항에서 도착하여 702번 공항버스를 타고 청도기차역으로 갔다. (702번 버스는 청도공항에 내리면 1층 빠져나와 우측으로 40m만 가면 공항버스 정류장이 있는데 -지쳐피아오-하면 사람들이 안에 들어가서 표사는 곳을 알려준다. 그러면 20(元)을 주고 사면 되고 30분만에 1대씩 버스가 역으로 출발한다)
11시 30분에 청도역에 도착하였다.
청도에서 태산까지 기차로 가기로하고
출발하기전에 아래 홈페지에서 열차 시간표를 인쇄해서 가지고 갔다.
http://www.abkk.com/cn/train/search_station.asp
칭다오역
발권창구
12시 36분 南昌행 기차표를 70(元)주고 사고(기차표를 살 때 여권도 함께 주어야 한다) 나니 40분정도의 여유가 있어 근처 식당에서 간단하게 식사를 하고 태산행 기차에 올라탔다.
18시 40분에 태산역에 도착하여 역 앞에서 4(元)을 주고 지도를 한 장 사고 나니 호객꾼들이 나타나 숙소를 소개하고 있었다.
태산역 앞에서 학생들에게 지도를 보면서 길을 물어보고 있다
그래서 우선 그들한테 방값을 물어보니 200(元)이라 한다. 그 호객꾼의 승용차를 타고 갔더니 천외촌(天外村) 부근의 어느 호텔로 안내해 주었다.
그리고 그 호텔에서 방값 흥정을 하는데 방 한 개에 280원 이란다
우리는 세사람이라 2개 560원을 내라고 한다.
말이 통하지 않으니까 글씨를 써가면서 호객꾼이 얘기 할때 200(元)이라고 해서 왔다고 하니까 OK한다.
그러나 우리는 세 사람이라 방1개에 보조침대가 있는 방으로 달라고 하니까
지배인이 OK 300(元)한다. 그것도 아침 식사까지 제공되는 호텔에 말이다.
의외로 협상이 잘 되었다. 그리고 호객꾼에게 교통비 20(元)을 줬다.
천외촌 광장
아침일찍 주민들이 광장나와 춤으로 몸을 풀고 있다.
5/24일 아침 일찍 눈이 떠졌다.
식사하기 전에 천외촌으로 올라가 보았다.
사람들이 광장에 나와 춤을 추면서 아침운동을 하고 있었다.
조금 더 올라가니 저수지 나온다.
그곳에도 사람들이 수영을 하고 있었다.
이곳의 날씨는 내륙이여서인지 28℃로 상당히 더웠다.
호텔에서 주는 아침식사를 하고 프런트에서 하루를 더 묵겠다고 하니까 안내원이 480元 내야 한다고 한다. 어제 저녁 가격에 해달라고 때를 써 봤지만 안 된다고만 한다.
그래서 지배인을 불러 달라고 했더니 아직 출근전이라 30분 후에 다시 지배인하고 협상을 했다. 그리고 마침내 어제 저녁 가격 300元에 하루를 더 묵기로 하고
드디어 태산으로 향했다.
천외촌 광장에 가보니 일반 관광객도 많이 있었지만 베이징에서 온 학생들이 많이 와 있었다.
이곳에서 입장료를 지불하고 중천문까지 가는 버스를 타는 곳이다.
태산으로 가는 방법은 걸어서 올라가는 방법과
천외천에서 버스를 타고 중천문까지 올라가서 케이블카로 올라가는 방법,
중천문에서 걸어서 걸어서 남천문까지 올라가는 방법 등 여러 가지가 있는데
우리는 중천문까지 버스를 타고 올가서
남천문까지는 걸어서 올라가는 방법을 택했다.
태산 입장료 127元과 버스비 30元 합해서 157원을 받는다.
같이 걷고 있는데 한국말을 너무나 잘해서 물어보니 한국에서 베이징으로 유학중인 중학생 이란다.
끝 없이 이어지는 돌계단을 오르다보니 어느덧 남천문에 다 와가는 것 같다.
남천문을 통과하고 나니 정상부근에
宾馆과 음식점이 많이 있다.작은 시가지와 같은 느낌이 든다.
갑자기 몰려든 안개(구름)가 산 정상을 감싼다.
옥황정 정상으로 가는 길
드디어 태산 정상에 올랐다.
'중국탐방 > 칭다오, 태산, 취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도여행(태산-곡부-제남-청도) (2) | 2014.03.01 |
---|---|
자유여행-(제남) (2) | 2013.06.14 |
곡부 자유여행 (0) | 2013.06.03 |